市, “월곡동의 도시개발사업 가능성 여전히 열려 있어”
뜬소문 바로잡습니다!
가짜 뉴스 확산 방지 위한 주민 설명회

“토지적성평가에서 등급이 낮게 나온 것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였다는 뜻은 아니다”
정장선 평택시장은 지난 23일 월곡1동 마을회관에서 주민설명회를 통해 월곡동 일대에 퍼진 가짜 뉴스 확산 방지를 위한 설명회를 가졌다.
최근 월곡동 일대의 주민 사이에 '월곡동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됐다'는 소문이 퍼졌다. 평택시는 이같은 소문이 최근 토지적성평가 결과와 관련된 것임을 파악하고, 지난 7월 발표된 토지적성평가에서 ‘나 등급’을 받은 사실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설명했다.
평택시는 ‘2040 평택 도시기본계획 수립’을 위해 2021년 11월부터 토지적성평가 용역을 추진했다. 도시계획위원회 자문 및 한국국토정보공사의 검증을 거쳐 올해 7월 토지적성평가를 완료해 해당 결과를 전산프로그램에 등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토지적성평가란 토지의 환경상태‧물리‧공간적 특성을 고려해 개별 토지의 환경‧사회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뜻한다. 토지적성평가는 보전할 토지와 개발 가능한 토지를 체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되며, 실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도시관리계획을 입안할 때 정량적인 판단 근거로 사용된다.
총 5등급(가~마)으로 구분되는 토지적성평가 중 ‘가 등급’에 가까울수록 보전적성이 강한 토지로, ‘마 등급’에 가까울수록 개발적성이 강한 토지로 판단된다. 단, 토지적성평가에서 낮은 등급으로 책정돼도 건물 신축 등 개별적인 토지 이용은 가능하다.
평택시 관계자는 주민설명회를 통해 토지적성평가의 의미를 설명하고, 월곡동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설명했다. 또한 향후 도시 개발 과정에서 토지적성평가 등급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알렸다.
정 시장은 “향후 인근 지역의 도시화나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월곡동 토지정성평가는 달라질 수 있다”며 “이번 주민설명회를 통해 월곡동 주민들의 오해가 해소됐길 바란다”고 전했다.
권현미 기자 brice23@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