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사회

평택항 신국제여객부두, 1천400억 원짜리 '세금 먹는 하마' 전락

by 주간평택
반응형

해수부의 경직된 행정이 초래한 부두 마비…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

1천400억 원을 들여 건설한 평택항 신국제여객부두가 개장조차 제대로 못 하고 표류하고 있다. 항만관계자들이 수년 전부터 문제를 제기했지만, 해양수산부는 '원칙론'에만 집착하며 밀어붙였고, 결국 부두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한 채 개점휴업 상태에 빠졌다.

도경식 평택지방해양수산청장(사진 좌측 끝)이 남재헌 해수부 항만국장, 이병진 국회의원(평택을), 강도형 해수부 장관, 정장선 평택시장, 김석구 경기평택항만공사 대표 및 참석자들에게 여객터미널과 부두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신국제여객부두는 부잔교(RO-RO 타입) 2선석과 돌제부두 2선석을 갖췄지만, 부두 폭 협소와 컨테이너 장치장 면적 부족 등의 문제로 가동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결국 지난해 말 여객터미널이 개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배는 접안하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연출됐다.

여기에 더해, 새로 건설된 여객부두가 육상에서 푼톤(부유식 구조물)으로 연결되는 도교의 각도가 지나치게 높아 조수간만의 차가 큰 고조 시 셔틀버스 및 화물 차량의 통행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객부두 미가동의 또 다른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문제에 대해 해수청 관계자는 “부두 운영사의 대상 차량이 결정되면 시운전을 통해 랜딩페달 부분에서 발생하는 통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이는 구조물 안전상의 문제가 아니라 사용상의 문제이므로 조속히 해결될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애초에 설계 단계에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졌다면 발생하지 않았을 문제라는 점에서, 졸속 행정의 전형적인 사례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에 7일, 이병진 국회의원의 주관 아래 해수부 장관, 평택시장, 평택항만공사, 관계 기관 공무원 등이 긴급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도 명확한 해결책은 제시되지 않았다. 

관계자들이 심각하게 사안을 받아들이고 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중요 부두 시설이 제 기능을 찾을 수 있도록 서두르겠다”고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고, 도경식 평택지방해양수산청장은 “진통이 있는 과정일 뿐, 차근차근 성과를 내겠다”며 사실상 책임을 회피했다.

문제는 해수부가 처음부터 항만 전문가들과의 소통을 무시한 채 계획을 강행했다는 점이다. 항만관계자들이 설계 단계에서부터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해수부는 이를 묵살했고, 결국 1천400억 원이라는 막대한 세금을 들여 지은 부두가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수부는 여전히 개선책조차 마련하지 못한 채, “차차 해결하겠다”는 공허한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평택항 마린센터 9층에 준비된 간담회장.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특히, 현장 간담회에서는 카페리 선사 대표들이 △ 하역 작업 불편 △ 컨테이너 야적장 부족 △ 여행객 안전 문제 등을 지적했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대책은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일부 참석자들은 "잘 가동되던 옛 여객부두를 폐쇄하고, 새 부두를 만들었다가 결국 다시 옛 부두를 쓰게 된 것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의 결과"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평택항은 수도권과 연결되는 대표적인 항만으로,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해수부의 무책임한 행정으로 인해 평택항의 위상은 크게 흔들리고 있으며, 여객부두는 '세금 먹는 하마'가 되어가고 있다. 과연 해수부는 언제까지 ‘원칙론’만 고집할 것인가? 실질적인 해결책 없이 미봉책만 남발하는 사이, 피해는 고스란히 평택항과 시민들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다.

평택항 신국제여객부두.

 

 

 강주형 기자 iou8686@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