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교육

도내 40.3% 학교, 디지털 교과서 도입… 찬반 논란 가열

by 주간평택
반응형

교육부, 맞춤형 교육 기대 vs. 교원단체·교육청, 검증 부족 우려

기사와 관련없음

경기도 내 초·중·고교의 40.3%가 새 학기부터 디지털 교과서를 선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를 위해 328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으며, 교육부는 AI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스마트 교육 환경 조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둘러싼 교육 현장의 반응은 엇갈리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교육부는 AI 디지털 교과서를 통해 학생 개별 맞춤형 교육을 실현하고, 학습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교육 도구라고 평가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해 학생들의 학습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개인별 수준에 맞춘 교육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 주요 목표다. 또한, AI 교과서 도입이 민영화와는 무관하며 개인정보 보호에도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교원단체와 일부 교육청에서는 교육부의 주장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교원단체는 AI 디지털 교과서의 교육적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문해력 저하와 디지털 기기 의존 증가로 인해 학습 격차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교사들의 업무 부담이 증가하고, 교원의 역할이 축소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된다. 일부 교육청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도입이 성급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학교 현장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 삼고 있다.

이 같은 우려 속에서 경기도의회는 2월 28일 AI 디지털 교과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AI 디지털교과서 정책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장은 이인규(동두천1) 의원이 맡았으며, 장한별(수원4), 전자영(용인4), 신민숙(화성4), 김광민(부천5), 김태희(안산2), 장윤정(안산3), 장민수(비례), 박상현(부천8) 의원 등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특별위원회는 3월부터 경기도교육청 소관 부서의 업무보고를 청취한 뒤, 교원단체 및 학부모 단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운영학교 현장 방문, 교원 연수 운영 상황 점검, 디지털교과서 운영 성과 분석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교과서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인규 위원장은 “정부의 무리한 디지털 교과서 도입 정책으로 인해 학교 현장이 큰 혼란을 겪고 있으며, 특히 경기도교육청은 교육부 정책을 무리하게 따라가는 형국”이라며, “충분한 공론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만큼, 도의회 차원에서 철저한 점검과 대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에서도 디지털 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기 위한 입법이 이루어졌다. 지난해 12월 26일 국회 본회의에서는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과용 도서’가 아닌 ‘교육 자료’로 분류하는 ‘초·중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됐다. 이는 학교가 디지털 교과서 도입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지만, 교육부는 이에 대해 재의요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둘러싼 교육부와 국회의 입장 차이가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도의회와 국회가 각각 정책 검토와 입법 조치를 진행하는 가운데, 디지털 교과서 도입의 방향성을 둘러싼 논의는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와 교육 당국, 그리고 교육 현장의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어떤 결론이 도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권현미 기자 brice23@hanmail.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