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재홍 생가
손동주
개발과 발전
지금은 중장비 굉음이 나리는 그곳에
역사의 흔적
그 발자취를 느낄법한
고택이
지나는 나그네 발걸음을 반긴다.
매서운 겨울바람에도
그 자취는 따스함이어라

안재홍 생가 — 시대를 품은 집, 역사를 말하다
평택에는 해방 전후 민족계몽과 독립운동, 그리고 언론계의 선구자로 활약한 안재홍 선생의 생가가 남아 있다. 이 집은 그가 태어나 자란 공간이자, 시대의 굴곡을 품은 공간이다. 현재는 안채와 사랑채만 남아 있으며, 1992년 12월 31일 경기도 기념물 제135호로 지정되었다.

건축적으로 살펴보면 안채는 1914년, 사랑채는 1932년에 각각 건립된 것으로 상량문을 통해 확인된다. 안채는 ‘ㄱ’자형 평면을 지닌 전형적인 경기도형 가옥이지만, 부엌과 대청 사이에 연결 통로를 두는 등 20세기 초 생활문화의 변화를 수용하고 있다. 사랑채 역시 전통가옥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유리창을 설치하는 등 근대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어, 그 시대적 흐름을 엿볼 수 있다.
안재홍 선생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민족계몽 언론인이자 정치가였다. 일본 유학 중 학우회를 조직해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귀국 후에는 중앙학교 학감, 조선일보 주필 및 사장을 역임하며 언론과 교육을 통해 민족의식과 독립사상을 고취했다. 이 과정에서 옥고를 치른 일화도 전해진다.
광복 이후에는 여운형과 함께 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새로운 국가의 틀을 구상했고, 미군정기(美軍政期)에는 초대 민정장관을 맡기도 했다. 1950년에는 평택에서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6·25 전쟁 중 납북, 1965년 평양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의 삶은 격동의 시대를 온몸으로 겪은 한 지식인의 궤적이자, 그 시대를 관통한 민족의 초상과도 같다. 그가 태어나 숨 쉬던 이 생가는 단순한 옛집이 아니라, 독립과 자치, 통일을 꿈꾸던 시대정신이 깃든 역사현장이다. 지금 그 공간은 조용하지만, 벽마다, 들창마다 그 시대의 숨결이 배어 있다.
'오피니언 > 칼럼·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인원의 詩로 세상 엿보기]천년의 바람 (0) | 2025.03.25 |
---|---|
[서창숙의 끄적끄적]그녀가 발악하기 시작했다. (2) | 2025.03.25 |
[도서관 기고] 예민한 당신을 위한 섬세한 처방전 (0) | 2025.03.25 |
[최인규칼럼]일본을 걷다 (0) | 2025.03.25 |
[강민경의 뇌과학연구소]11장. 함께 웃는 얼굴에서 감정은 자랍니다 (0) | 2025.03.24 |